모노산달로스의 행보

[Purdue] 퍼듀 대학교 2025 글로벌 AI 연수 (6) | 부제 : Prototype 본문

Experience/Purdue

[Purdue] 퍼듀 대학교 2025 글로벌 AI 연수 (6) | 부제 : Prototype

모노산달로스 2025. 7. 18. 05:09

Perdue University 2025 글로벌 연수 - 6

Purdue University

 

퍼듀 대학교는 미국 인디애나주에 위치한 공립 연구 중심 대학입니다. 공학과 항공 우주, 농업,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특히 NASA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을 포함해 많은 유명 동문을 배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명문 대학교에서 매년 한국 학생들을 초청하여 K-SW Square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좋은 기회를 경기대학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의 혜택으로 여름 방학 기간 동안 다녀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프로그램 진행 동안 일어난 경험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07/14 (Monday)

애플리케이션 제작

교수님께서 한국 음식을 사 주셨다

 

월요일 아침, KSW에 도착했을 때 교수님께서 많은 음식을 가지고 오셨습니다. 미국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한국 음식을 더 찾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듯합니다. 많은 신라면이 벽장에 드러섰고, 마음이 든든해지고는 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했다

 

월요일 오전 동안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했습니다. 테스트를 위하여 온도 데이터를 받아 최고 온도, 최저 온도, 평균 온도를 그래프로 그리도록 만들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제작은 그간 해왔던 일이었기에, 속전속결로 작업을 마무리했습니다.

 

유명한 아이스크림 집에 들렀다

 

점심을 먹고 나서는 유명한 Silver Dipper Ice Cream 가게에 들렀습니다. 괜찮은 가격에 많은 아이스크림을 맛볼 수 있었습니다. 더운 여름 날씨 때문인지, 시원한 음료나 아이스크림이 더욱 맛있게 느껴지는 것 같기도 했습니다.

 


 

하드웨어 컨테이너의 새로운 재질을 소개해주셨다

 

오후에는 하드웨어에 대하여 다시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스마트 더스트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서 보조배터리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경우 리튬배터리에 비해 크기가 너무 커져 기존 취지와 어긋난다는 의견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교수님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프로토타입 제작이라는 관점에서는, 크기가 중요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작은 크기와 멋진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빠르게 성능을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의미었습니다.

 

이후 교수님은 PVC Pipe를 새롭게 소개해 주셨는데,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에 최적의 소재로 보였습니다. 튼튼하고, 원통형으로 잘라내기 쉬우며 무엇보다 전파를 방해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남은 시간은 PVC Pipe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본 뒤, 내일 매장에 방문하기로 하였습니다.

 


 

07/15 (Tuesday)

MENARD

UI 작업을 마무리하다

 

오전 시간 동안은 남은 UI 작업을 모두 완료했습니다. 디자이너가 참여하는 상황은 아니었지만, Figma Community의 여러 작품을 참고하며 디자인을 고려했습니다.

 

그렇게 작업을 마치고 잠시 쉬고 있던 중, 좋은 소식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보(퍼듀 대학교 학생)가 드디어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 사이의 통신이 성공했다고 알려 준 것입니다.

 

이제 하드웨어만 완성을 하면 첫 스텝은 잘 마무리될 것으로 보였습니다.

 


 

01
PVC pipe 구매를 위해 매장에 들렀다

 

오후에는 MENARDS라는 대형 건축 자재 매장에서 PVC pipe를 구매했습니다. 미리 보드에 연결한 기기를 들고 가서 적절한 크기의 PVC pipe를 선택했습니다.

거대한 매장에 늘어진 건축 자재들을 보면서, 신기한 감정이 느껴졌습니다. 이 공간은 미국인들의 DIY 정신이 녹아든 매장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수님은 자신의 Shed(간이 건물)를 직접 만든 이야기를 해 주셨습니다. 스스로 집을 개조하고, 유지보수하는 미국의 문화는 한국과는 많이 달랐습니다. 사람들이 스스로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 있는 듯했습니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DIY 정신을 마음에 두고 살아가고 싶습니다.

 

 


 

 

07/16 (Wednesday)

프로토타입 제작

코드 개선 사항을 논의하다

 

수요일, 워커 노드에 사용될 코드가 모두 완성되었습니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팀원들이 코드를 확인하고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추가적인 개선 사항이나, 논의 사항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데이터 전송 방식, 센서 경고 기준 등 세부적인 내용은 토론으로 만들어 추후 다시 이야기하기로 했습니다.

 

PVC pipe를 잘라주셨다

 

이후, 6인치 크기로 PVC pipe에 자름 선 표시를 하셨습니다. 그걸 받으신 교수님께서 테스트용으로 하나의 PVC pipe를 잘라내주셨습니다.

 

하드웨어 제작이 순조롭게 이어지는 모습을 보니 신기할 따름이었습니다. 한국에 돌아가서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프토토타입을 만들어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완성되어가는 프로토타입

 

잘라낸 원통에 실제로 기기를 넣어 프로토 타입을 구성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 있었습니다.

 

센서들은 컨테이너 밖으로 나와야 측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 센서 노출에 의한 방수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조도 센서의 경우 방수 기능이 어느 정도 있으므로, 구멍을 만들어 선을 연결하고 조도 센서를 밖으로 빼내는 방법을 생각했습니다. DHT22 온습도 센서는 방수 기능이 없어, 벤트 구멍을 뚫는 것은 어떨까 의논했습니다. 또, 비를 막아주는 초미세먼지 방충망 같은 방안이 언급되기도 하였습니다.

 

교수님이 언급하신 방법

 

마지막으로 교수님께서는 한 가지 장치를 보여주셨습니다. 그 기기는 뒤집어 놓은 그릇을 겹겹이 쌓은 형태를 하고 있었습니다. 판 내부에는 센서가 존재하는데, 이렇게 되면 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한 번에 최고의 방법을 알려주시지 않았습니다. 우리에게 계속 의문점을 던지며, 어떻게 하면 하드웨어를 창의적으로 구성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만들었습니다.

아마 생각하는 힘을 기르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방법을 제시해 주시는 것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07/17 (Thursday)

HETBAHN

 

01
구멍을 만들어 센서를 밖으로 빼내었다

 

 

차분한 분위기 속에 목요일이 시작되었습니다. 오늘은 하드웨어를 최종적으로 구성하는 날입니다. 어제 논의한 대로 뚜껑 위에 센서를 두고 우산과 같은 보호막을 세울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센서를 밖으로 내보내는 것이 우선이었습니다. 따라서 PVC 뚜껑 부분에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내었습니다. 그리고 중앙 부분에는 큰 구멍을 만들어서 기둥을 설치했습니다.

 

 

햇반 뚜껑으로 지붕을 덮었다

 

마지막으로 햇반 뚜껑으로 온습도 센서를 가려주었습니다. 그리고 거기에 다시 구멍을 만들어 안테나와 조도 센서를 밖으로 드러냈습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이로써 설치를 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을 빠르게 완성 할 수 있었습니다.

 


 

네트워크 구조에 대하여 설명을 들었다

 

이후 시간에는 지금까지 구성한 서버 구조에 대해서 가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MQTT마스터 노드 그리고 데이터 서버 사이의 통신 과정에 대한 이야기었습니다.

 

먼저 마스터 노드는 MQTT에 데이터를 Publish합니다. 그리고 데이터 서버는 MQTT를 Subscribe하고 있습니다. 마스터 노드가 지속적으로 MQTT에 업로드한 데이터를 서버가 구독하여 저장하는 구조였습니다.

 

서버 구성에 대하여 몇몇 대화를 이어갔고, 어느새 시간이 지나 퇴근을 하게 되었습니다. 다음 날은 단체로 여행을 가기 때문에, 평소보다 조금 일찍 기숙사로 돌아갔습니다.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3일간은 마음 편하게 휴식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그리고 여행이 모두 끝난 뒤에는,

 

디바이스와 서버 그리고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을 확인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