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79)
모노산달로스의 행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JXIN5/btsGmWoqV6s/6H4pHjqL7hVCGRZnD5zQo1/img.png)
C programming - 포인터 선언과 사용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기 위해서 C언어를 다시 복습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기회에 배열부터 전처리기까지 내용들을 정리하겠습니다. 포인터란 무엇인가? 이름은 많이도 접한 포인터 과연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일까요? 포인터를 사용해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면 다양한 자료형 변수들에 접근하기 쉬워집니다. 또한 배열과 같은 연속된 데이터 혹은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 영역(힙 영역)을 조작하기 용이합니다. 글로만 보아서는 이해하기 힘든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단순히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포인터 변수의 선언과 사용 포인터의 선언 방법을 살펴보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int* pointer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K4QY/btsGjngoJ18/PhaPS2KJhFPtzvJwVkK1X1/img.png)
C programming - 2차원 배열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기 위해서 C언어를 다시 복습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기회에 배열부터 전처리기까지 내용들을 정리하겠습니다. 다차원 배열이란? 다차원 배열은 2차원 이상의 배열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즉, 하나의 배열이 다른 배열을 가지고 있는 형태입니다. 처음 다차원 배열을 접하신다면 이해하기 힘든 개념으로 생각됩니다만,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정리하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포스트에서는 2차원 배열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차원 배열의 선언과 초기화 int array[4][3]; 기존 배열과 선언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자료형과 배열의 이름 그리고 배열의 크기를 선언합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배열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cLje/btsGmUKMJQ0/2jneF8KVLUEW2zrJJJ9dkK/img.png)
위젯의 Definition File(정의 파일)을 살펴보고 스스로 문제 해결하기 - (내비게이션바 라벨 폰트 크기 키우기) 플러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도중 내비게이션바 위젯을 편집하는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스스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위젯 정의 파일을 파고들었습니다. 플러터는 위젯의 정의 파일로 손쉽게 이동하여 해당 위젯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파악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발단 위와 같은 홈 스크린을 구상하였는데 ThemeData에 새롭게 폰트를 적용하니 내비게이션바의 라벨 사이즈가 매우 작아졌습니다. 글씨를 알아보기 힘들어 크기를 키우고자 했습니다. 문제는 NavigationBar의 어디에도 라벨의 스타일을 바꾸는 프로퍼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해결 과정 처음에는 프로젝트 전체의 텍스트 크기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1ICJO/btsGi1RNRME/i0NBUuffbnoDUEF73JZrb0/img.png)
C programming - 1차원 배열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기 위해서 C언어를 다시 복습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기회에 배열부터 전처리기까지 내용들을 정리하겠습니다. 배열이란? 배열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같은 자료형을 가진 연속된 메모리 공간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입니다 같은 자료형을 가진 변수들이 여러 개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유용합니다 쉽게 정리하자면 같은 자료형의 변수들을 하나로 묶어놓은 것을 배열이라고 부릅니다 배열의 선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int array[10]; 자료형과 배열의 이름 그리고 배열의 길이를 선언합니다. 위 예시는 10의 길이를 가지는 array라는 이름의 int 자료형 배열입니다. 배열 요소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xz6pT/btsF9xXdT8H/v5Qj1wrnm8AuJE1kKTFU2k/img.png)
학년이 올라가면서 갑작스럽게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러한 과정에서 협업을 이끌어나가는 방법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많은 프로그래머들이 Git과 Github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Git을 설치하고 Github의 기본적인 사용방법 그리고 Notion과 연동하는 방법까지 작성해 보겠습니다. Git은 무엇이고 Github는 무엇인가? Git의 역할을 정의하자면 Version Control System입니다. Git을 통하여 내가 작성한 코드의 변화를 Repository라는 특별한 공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저장될 때마다 History에 기록이 남아 코드를 망치는 경우 쉽게 이전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Version Control S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L1aQi/btsF8xi36AY/ygNeFK2DIqFckzZQdCgav1/img.png)
플러터는 크로스 플랫폼 개발에서 강력한 파워를 보여주는 프레임워크이다. 주로 파이어베이스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된다. 문제 발생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공부하던 도중 Firebase와 연동하는 작업에 문제가 생겼다. 발생한 오류는 다음과 같다: StreamBulder를 통해 Firebase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만든 List를 화면에 표시하지 못한다. return StreamBuilder( stream: FirebaseFirestore.instance.collection('Goals').orderBy('timestamp').snapshots(), builder: (context, snapshot) { if (snapshot.hasError) return Text('ERROR: ${snapsho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0xaJ/btssvxJnGpk/dJ0mMs5IFCtiKZuijMZSsk/img.jpg)
싱가포르 - 7 2023/08/24 회사에서 보내는 마지막 시간이 다가왔다. 그동안의 과정을 돌아보자면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개발 실력을 키우기에는 너무나 짧았다. 또, 일부 OS를 사용할 수 없거나 사전에 학습 과정이 협의되지 못했기 때문에 효율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최대한 많은 것들을 알려주시려는 게 느껴졌다. 진심을 다해서 열의를 가지고 가르쳐 주신 만큼 우리도 최대한 따라가려고 노력했다. 분명 개발 실력이 많이 상승한 것은 아니다. 진정으로 배운 것은 발전을 위한 열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경험은 내 마음속에 계속해서 남을 것이다. 그리고 한국에 돌아가서도 개발 공부를 지속할 수 있는 힘이 될 것이다. 나는 그렇게 믿으면서 수료증을 받았다. 출국 전 날 제네시스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5qSJ/btssfHNxK4G/lSksMpqd626RpGVIKqekFk/img.jpg)
싱가포르 - 6 2023/08/22 오늘은 NUS를 견학하는 일정이 있다. 컴퓨터 공학부에 재학중인 4학년 학생과 함께 학교를 둘러보았다. 싱가포르의 NUS는 세계에서 손 꼽히는 명문대다. 뛰어난 성적을 요구하고 엄청난 학비가 들지만 그만큼 똑똑한 학생들과 함께 수준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다. 학교를 둘러보면서 그 크기와 전경에 정말 놀랐다. 학교를 돌아다니는 버스나 수영장도 존재했다. 식당과 랩실 또한 많고 좋았다. 그 중에서도 눈에 띄었던 것은 그 좋은 환경을 이용하는 학생들이었다. 모두들 열정을 가지고 연구와 공부를 진행하는 모습에 나 또한 자극을 받았다. 학생들과 대화를 해 보면 확실히 생각 자체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래에 대한 생각이나 진로결정, 그리고 계획을 수립하고 그것을 수행..